WEBVTT 00:00:24.046 --> 00:00:25.475 암리트에게는 장애가 있습니다. 00:00:25.476 --> 00:00:27.805 그의 장애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장애는 아닙니다. 00:00:27.806 --> 00:00:32.335 휠체어가 있다고 해도 암리트가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습니다. 00:00:32.336 --> 00:00:34.155 저에게는 ADD가 있습니다. 00:00:34.156 --> 00:00:35.425 그리 나쁘지는 않습니다. 좋은 일이라고 생각해요. 00:00:35.426 --> 00:00:40.265 휠체어는 일시적인 보조 장치입니다. 암리트는 최근 발 수술을 했습니다. 00:00:40.266 --> 00:00:45.005 많은 사람들이 발을 다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스키를 타거나 여행을 00:00:45.006 --> 00:00:47.345 하다가 발이 부러지거나 개에 물리거나 발목을 접지를 때가 있습니다. 00:00:47.346 --> 00:00:51.995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영구적인 장애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더 어렵습니다. 00:00:51.996 --> 00:00:55.775 특히 장애가 뇌에 영향을 미치는 때에 그렇습니다. 00:00:55.776 --> 00:00:58.205 저는 사립학교에 다닙니다. 장학금도 받습니다. 00:00:58.206 --> 00:01:00.775 저는 굉장히 똑똑한 학생입니다. 학습을 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. 00:01:00.776 --> 00:01:03.615 저에게는 집중하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. 00:01:03.616 --> 00:01:07.795 대학교 2학년생인 제시에게도 보이지 않는 장애가 있습니다. 00:01:07.796 --> 00:01:11.905 저는 난독증이 있습니다. 글을 읽는데 문제가 있습니다. 00:01:11.906 --> 00:01:17.925 저에게는 방향을 말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왼쪽으로 가려고 하는데 00:01:17.926 --> 00:01:20.045 오른쪽으로 가거나 오른쪽으로 가려고 하는데 왼쪽으로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. 00:01:20.046 --> 00:01:25.275 읽는데 큰 어려움을 겪습니다. 00:01:25.276 --> 00:01:29.805 로라는 7학년일 때 자동차 사고를 당했고 영구적인 부상을 입었습니다. 00:01:29.806 --> 00:01:33.485 로라의 설명에 따르면 장애가 눈으로 식별이 되지는않는다고 합니다. 00:01:33.486 --> 00:01:37.155 저는 뇌에 외상을 입었습니다. 00:01:37.156 --> 00:01:42.265 기억력에 문제가 생겼습니다. 사고가 발생한 후에 00:01:42.266 --> 00:01:47.615 제가 기억하는 단어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. 00:01:47.616 --> 00:01:54.955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큰 어려움은, 말하고자 하는 00:01:54.956 --> 00:02:00.094 내용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지 못한다는 겁니다. 저는 간접적으로 에둘러가며 이야기를 합니다. 00:02:00.096 --> 00:02:04.775 재가 어떤 단어를 말하고자 할 때 "집 앞으로 바로 지나가야 해요. 00:02:04.776 --> 00:02:08.074 아, 아니요 찻길로요!" 라고 표현하는 식입니다. 00:02:08.076 --> 00:02:12.885 이 세 학생은 대학교에 다니는 장애인이며 눈으로 보기에도 다른 점이 없어 보입니ㅏㄷ. 00:02:12.886 --> 00:02:16.985 이들에게는 다른 사람들이 쉽게 눈치챌 수 없는 장애가 있습니다. 00:02:16.986 --> 00:02:20.035 그리고 이따금 사람들은 이들에 대해서 오해를 하곤 합니다. 00:02:20.036 --> 00:02:23.995 저를 보게 된다면 교실에 있는 다른 학생들과 다른 점이 없어 보일 것입니다. 00:02:23.996 --> 00:02:26.295 그래서 노트테이킹이 필요하다고 하거나 시험을 볼 때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고 00:02:26.296 --> 00:02:28.755 말을 한다면 사람들은 그게 무슨 뜻인지 되물어 볼 것입니다. 00:02:28.756 --> 00:02:30.615 학생에게 장애가 있다는 사실이 00:02:30.616 --> 00:02:32.605 교수들에게 분명하게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 00:02:32.606 --> 00:02:36.105 그러나 그들에게 장애가 있고 학업을 성취하는 데 영향을 줍니다. 00:02:36.106 --> 00:02:38.475 이게 심장 벽을 곧장 지나가는 걸까요? 00:02:38.476 --> 00:02:42.465 이따금 시각장애인인 학생들이 인지 능력이 부족하거나 00:02:42.466 --> 00:02:45.895 집중력이 부족할 때가 있습니다. 00:02:45.896 --> 00:02:49.905 네이트도 그런 학생입니다. 네이트는 학습 장애를 진단 받은 학생입니다. 00:02:49.906 --> 00:02:53.605 다른 사람들이 저를 보고 제가 이상하다고 말합니다. 00:02:53.606 --> 00:02:56.745 사람들은 제가 아무 공부도 하지 않거나 충분히 열심히 하지 않는 줄로 오해합니다. 00:02:56.746 --> 00:02:58.915 그러나 저는 정말로 노력을 합니다. 00:02:58.916 --> 00:03:03.695 제 아버지에게 학습 장애가 있고 저희 친할머니에게도 학습 장애가 있습니다. 00:03:03.696 --> 00:03:07.945 가족력이 있고 제 부모님은 제가 배움을 이어가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워 하십니다. 00:03:07.946 --> 00:03:12.985 학교에서는 저를 두고 이렇게 말합니다. "배우는 속도가 조금 느려요. 그렇지만 나중에는 이걸 이해할 거에요." 00:03:12.986 --> 00:03:15.725 초등학생 시절 2학년 말까지도 저는 아무 글자도 읽을 수가 없었습니다. 00:03:33.056 --> 00:03:38.275 이런 장애가 있는 여러 대학생들도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. 00:03:38.276 --> 00:03:40.845 여러 해에 걸쳐 저희 교실에서 00:03:40.846 --> 00:03:42.885 학생들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저에게 있었습니다. 00:03:42.886 --> 00:03:47.535 정신의학적 약물 치료가 새로운 반향을 일으켰고 00:03:47.536 --> 00:03:49.965 약을 복용함으로써 교실 활동에 이전보다 더 잘 00:03:49.966 --> 00:03:53.815 집중하고 참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알게 되었습니다. 00:03:53.816 --> 00:03:57.355 보이지 않는 장애가 학생들이 사고를 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고 00:03:57.356 --> 00:03:59.905 정보를 듣고 의사소통하는데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00:03:59.906 --> 00:04:04.565 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집중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. 00:04:04.566 --> 00:04:09.455 학교 수업이 진행되는 긴 시간 동안 집중을 하지 못할 수도 있고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 00:04:09.456 --> 00:04:15.955 그리고 시험을 보거나 교수님들로부터 질문을 받으면 불안해 할 수도 있습니다. 00:04:15.956 --> 00:04:18.765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장애를 다르게 경험합니다. 00:04:18.766 --> 00:04:23.285 그래서 같은 장애를 진단 받은 학생들이라고 해도 00:04:23.286 --> 00:04:25.955 각각 다른 장애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. 00:04:25.956 --> 00:04:30.275 그래서 같은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. 00:04:30.276 --> 00:04:33.595 우리는 그들에게 가장 잘 맞는 교육 방식이 무엇인지 찾기 위해서 각 학생별로 00:04:33.596 --> 00:04:35.735 수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. 00:04:35.736 --> 00:04:38.365 교수들은 갑자기 발작을 하는 등의 특정 장애가 있는 학생들과 00:04:38.366 --> 00:04:41.765 관련하여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곤 합니다. 00:04:41.766 --> 00:04:44.815 그런 학생들을 가르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 수 없는 거죠. 00:04:44.816 --> 00:04:49.235 발작 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약물을 투여하기도 하므로 00:04:49.236 --> 00:04:52.925 교실에서 자주 발작을 하지는 않습니다. 00:04:52.926 --> 00:04:58.205 그러나 학생이 발작을 할 때 교수자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는 꼭 알아두어야 합니다. 00:04:58.206 --> 00:05:02.345 만약 학생이 "저에게는 발작 장애가 있습니다"라고 말한다면 00:05:02.346 --> 00:05:07.225 장애 서비스 부서에서 학생에게 "교수하시는 분들이 알아두어야 00:05:07.226 --> 00:05:09.195 할 만한 것들이 있나요?"라고 묻는 것은 어려운 게 아닙니다. 00:05:09.196 --> 00:05:12.665 정신 상태에 관련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 00:05:12.666 --> 00:05:15.105 만약 학생이 갑자기 난폭한 행동을 한다면 어떨까요? 00:05:15.106 --> 00:05:17.415 학생의 행동이 교실 학생들을 방해한다면 어떨까요? 00:05:17.416 --> 00:05:21.225 정신 건강상 문제가 있거나 정신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00:05:21.226 --> 00:05:27.365 교실에서 더 큰 문제를 만들어낼 거라는 고정관념이 있습니다. 00:05:27.366 --> 00:05:29.575 사실 그건 사실이 아닙니다. 00:05:29.576 --> 00:05:34.535 우리는 학부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 대해서 미리 알아두라고 권고합니다. 00:05:34.536 --> 00:05:40.565 장애를 가진 학생이 스트레스를 지나치게 받는 건 아닌지, 다른 학생들과 비슷한 적합한 행동을 하고 있는지 00:05:40.566 --> 00:05:45.205 확인해야 하고 상담 부서에도 이야기해 두어야 합니다. 00:05:45.206 --> 00:05:48.005 자폐증이나 뚜렛 장애같은 질병에 대해 충분히 잘 알아두면 00:05:48.006 --> 00:05:51.635 학생의 부족한 사회 능력에 잘 00:05:51.636 --> 00:05:54.595 대응할 할 수 있게 됩니다. 00:05:54.596 --> 00:05:57.455 이따금 자폐가 있는 학생이 알고자 하는 것에 대해서 00:05:57.456 --> 00:06:00.735 끊임없이 질문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, 00:06:00.736 --> 00:06:05.365 학생들이 교실에서 혼자 질문을 하며 수업을 방해할 때 학부에서 해야 하는 일은 00:06:05.366 --> 00:06:08.495 장애 학생이 알고 싶어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 차리고 00:06:08.496 --> 00:06:12.385 "많이 질문을 했구나. 지금 수업을 진행해야 하니 나중에 다시 알려주도록 하겠다."라고 답하는 것입니다. 00:06:12.386 --> 00:06:17.035 뚜렛 증후군에 대해서 미디어에서 많이 다루고 있습니다. 예를 들어 00:06:17.036 --> 00:06:27.415 듀스 비글로우는 그의 두 번째 영화에서 주인공이었는데, 비슷한 문제를 가진 여러 사람과 마주칩니다. 00:06:27.416 --> 00:06:33.295 그들 중 한 명에게 뚜렛 증후군이 있었는데 그녀의 케이스는 드물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았습니다. 00:06:33.296 --> 00:06:39.405 그녀는 소리를 지르며 욕을 하곤 했습니다. 그 영화를 봤던 사람들과 제가 이야기를 00:06:39.406 --> 00:06:45.245 나누었을 때 그들은 이렇게 물었습니다. "뚜렛 증후군이 소리를 지르면서 욕을 하는거였나?" 00:06:45.246 --> 00:06:49.975 그럴 때 저는 항상 그런 건 아니라고 말해 주었습니다. 00:06:55.106 --> 00:07:01.375 시각 장애자인 학생들 중 일부는 대학교 교실에서 편의시설을 필요로 하기도 합니다. 00:07:01.376 --> 00:07:06.445 그들에게 편의시설이 필요하다면 자신의 장애를 밝히고 00:07:06.446 --> 00:07:08.945 장애 관련된 정식 문서들을 제출하고 편의 서비스 이용 신청을 해야 합니다. 00:07:08.946 --> 00:07:13.485 그러나 어떤 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자신의 장애를 알리지 않고 00:07:13.486 --> 00:07:16.345 "직접 문제를 해결하는" 방법을 택하기도 합니다. 00:07:16.346 --> 00:07:21.575 많은 학생들이 장애를 말하지 않는데 00:07:21.576 --> 00:07:23.665 말을 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. 00:07:23.666 --> 00:07:28.455 이전 몇 해 동안 대학 교육을 받기 이전 단계에서부터 00:07:28.456 --> 00:07:33.205 그들은 여러 차례 문제가 있는 학생으로 여겨졌습니다. 학생들이 우리를 만났을 때 그들은 우리의 정책이 00:07:33.206 --> 00:07:37.995 매우 새롭고 좋다고 여겼으며 우리는 학생에게 장애가 있더라도 함부로 그 사실을 발설하지 않았습니다. 00:07:37.996 --> 00:07:41.065 우리는 장애 사실을 학부에 반드시 보고하는 것을 언제나 권고하지는 않고 있습니다. 00:07:41.066 --> 00:07:44.715 미리 보고하는 일이 학생과 교수진 모두에게 스트레스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00:07:44.716 --> 00:07:47.635 이따금 학생들이 자신의 장애를 너무 늦게 알려서 00:07:47.636 --> 00:07:50.305 학부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00:07:50.306 --> 00:07:53.215 그들은 학기가 시작할 때 자신들의 장애를 알리지 않습니다. 00:07:53.216 --> 00:07:56.995 그리고 그들은 종종 장애 학생 서비스 부서로 방문하는데 그러면 직원들은 이렇게 묻습니다. 00:07:56.996 --> 00:07:58.245 "아 그래서 왜 이 학생이 미리 말을 하지 않은 걸까요? 00:07:58.246 --> 00:08:02.355 중간고사가 진행되며 바빠 정신이 없을 때 이제 와서 알리는 걸까요?" 00:08:02.356 --> 00:08:05.135 제 생각에, 이 문제의 답은 그렇게 명확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. 00:08:05.136 --> 00:08:09.785 어떤 학생들은 그들의 장애가 눈으로 보고 알 수가 없는 경우에 00:08:09.786 --> 00:08:14.665 알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인지하고, 이 때문에 00:08:14.666 --> 00:08:18.405 처음부터 자신의 문제를 밝히지 않습니다. 00:08:18.406 --> 00:08:22.455 장애가 있는 대학생들은 학기가 시작하기 전에 00:08:22.456 --> 00:08:25.985 장애 학생 서비스 부서에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. 00:08:25.986 --> 00:08:29.885 부서의 직원은 장애 학생의 문서를 확인하고 00:08:29.886 --> 00:08:32.135 적합한 편의 서비스가 무엇인지 확인해야 합니다. 00:08:32.135 --> 00:08:35.794 그리고 학생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권한을 열거한 서한을 전달합니다. 00:08:35.796 --> 00:08:38.945 우리는 어떻게 장애가 있는 학생이 특정한 강좌에서 00:08:38.946 --> 00:08:42.245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주의 깊게 지켜 보아야 합니다. 00:08:42.246 --> 00:08:44.605 그리고 어떤 유형의 편의 서비스가 적합한지 00:08:44.606 --> 00:08:48.525 이성적으로 탐색하고 결정해야 합니다. 00:08:48.526 --> 00:08:52.965 모든 편의 서비스가 합리적인 것은 아니고, 적합한 적도 아닙니다. 00:08:52.966 --> 00:08:55.895 편의 서비스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언제든지 있습니다. 00:09:11.706 --> 00:09:16.005 만약 학생이 요구하는 편의 서비스가 비합리적이라면 교수진과 00:09:16.006 --> 00:09:19.725 학생, 장애학생 서비스 부서의 직원이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타협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. 00:09:19.726 --> 00:09:25.105 저는 항상 몸을 움직이고 시끄러운 말을 하는 틱을 가진 00:09:25.106 --> 00:09:29.205 뚜렛 증후군을 앓는 학생과 일한 적이 있습니다. 00:09:29.206 --> 00:09:33.745 이 학생이 화학 수업을 들을 때 학생을 가르치던 화학 교수님이 00:09:33.746 --> 00:09:39.065 장애 학생의 틱이 화학 수업에 참여하기에 너무 위험하다는 00:09:39.066 --> 00:09:42.635 우려를 제기했습니다. 실험실에서 수업을 해야 했기 때문입니다. 00:09:42.636 --> 00:09:47.845 우리는 학생의 학습을 돕기 위해서 적합한 상황을 만들었고 00:09:47.846 --> 00:09:50.635 덕분에 학생은 문제 없이 수업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. 00:09:50.636 --> 00:09:55.265 우리는 유리로 된 시험 용기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고 00:09:55.266 --> 00:09:58.225 학생에게 실험 보조인을 붙여 주었습니다. 00:09:58.226 --> 00:10:02.985 장애 학생이 다루기 어려운 위험한 화학물질을 취급해야 할 때 00:10:02.986 --> 00:10:06.434 틱 때문에 움직임에 문제가 있는 경우 00:10:06.436 --> 00:10:11.415 실험 보조인이 그 화학물질이 담긴 용기를 직접 취급하고 학생은 00:10:11.416 --> 00:10:14.205 안전한 환경에서 계속 학습을 할 수 있었습니다. 00:10:14.206 --> 00:10:17.485 태양의 흑점을 어떻게 하면 볼 수 있을까요? 00:10:17.486 --> 00:10:21.325 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기밀을 누설하지 않을 책임이 있습니다. 00:10:21.326 --> 00:10:26.045 만약 교실에서 문제가 발생했으나 장애 학생이 편의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은 경우 00:10:26.046 --> 00:10:29.955 교수는 장애가 있는 학생에게 여러 질문을 하면서 조언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. 00:10:29.956 --> 00:10:33.035 그러나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이 존재합니다. 00:10:33.036 --> 00:10:36.215 교수가 학생을 불러서 "교실에서 00:10:36.216 --> 00:10:38.965 네가 문제를 일으킨 것 같구나. 00:10:38.966 --> 00:10:41.055 내가 도울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을까?"라고 물어보는 것은 괜찮습니다. 00:10:41.056 --> 00:10:43.865 이 경우 교수는 학교 내에서 개인 교습이나 교육 센터 같은 이용 가능한 자원에 대해 제안할 수 있습니다. 00:10:43.866 --> 00:10:49.595 그리고 이런 자원들 가운데 장애 학생 서비스 부서도 포함이 됩니다. 00:10:49.596 --> 00:10:54.475 수업 요강에 이런 편의 서비스에 대해 언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 00:10:54.476 --> 00:10:57.615 그리고 장애 문제와 관련하여 학생을 불러 직접 이야기해볼 수도 있습니다. 00:10:57.616 --> 00:10:59.935 이렇게 함으로써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00:11:05.456 --> 00:11:10.275 더 편한 마음으로 편의 서비스에 대해서 논의할 수 있습니다. 00:11:10.276 --> 00:11:14.275 학부진이 열려 있고 학생의 요구에 잘 대응할 수 있으며 00:11:14.276 --> 00:11:18.045 학생이 마주칠 큰 문제들을 함께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학생에게 알게 해야 합니다. 00:11:18.046 --> 00:11:20.335 학생들은 언제 그들이 학부진에게 연락을 취해야 하는지 알기를 원합니다. 00:11:20.336 --> 00:11:24.465 특히 그들이 겪는 장애가 분명하게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 때 그렇습니다. 00:11:24.466 --> 00:11:28.665 이미 학생의 장애를 잘 알고 있는 학부 직원이 있으면 학생들에게 유용할 것입니다. 00:11:28.666 --> 00:11:33.865 학생은 교실에서, 과제를 할 때, 시험을 볼 때 편의 서비스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. 00:11:33.866 --> 00:11:37.785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교실 편의 서비스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00:11:51.136 --> 00:11:53.495 저는 노트를 하고 에세이 시험을 볼 때 00:11:53.496 --> 00:11:56.485 교실에서 노트북을 많이 사용합니다. 00:11:56.486 --> 00:12:00.884 저는 수업 맨 마지막에 교수님께 파일을 이메일로 보내고, 편지함에 파일을 저장합니다. 00:12:00.886 --> 00:12:03.785 이후에 파일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. 00:12:03.786 --> 00:12:06.095 과제를 할 때 제공되는 편의 서비스도 있습니다. 00:12:20.486 --> 00:12:26.715 저는 충분한 시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님에게 허락을 받았습니다. 00:12:26.716 --> 00:12:33.275 시간 내에 과제를 완료하지 않아도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00:12:33.276 --> 00:12:36.195 시험을 볼 때 제공되는 편의 서비스도 있습니다. 00:12:59.976 --> 00:13:02.434 시험을 볼 때 더 많은 시간을 할당받는 겁니다. 00:13:02.436 --> 00:13:06.095 저는 시험을 볼 때 어려움을 겪습니다. 00:13:06.096 --> 00:13:08.755 장애로 인해 시험을 볼 때 제 능력의 발휘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. 00:13:08.756 --> 00:13:13.705 저는 숙제를 하고 공부를 하고 암기를 할 수 있지만 시험을 보는 것은 어렵습니다. 00:13:13.706 --> 00:13:20.215 어떤 수업에서 저는 구두로 시험을 볼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았습니다. 00:13:20.216 --> 00:13:24.435 직접 말을 해서 답을 해야 내가 잘 알고 있는 게 맞는지 교수님이 알아들을 수가 있었기 때문입니다. 00:13:24.436 --> 00:13:27.945 글을 써서 대답을 할 때 잘 답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. 00:13:27.946 --> 00:13:32.075 어떤 경우 편의 서비스를 교실 바깥에서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. 00:13:32.076 --> 00:13:36.435 예를 들어서 의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임상 실험을 위해 실제 직업 현장에 방문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 00:13:36.436 --> 00:13:39.995 이 때 개별적인 논의가 필수적입니다. 00:13:39.996 --> 00:13:43.785 내가 가장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는 프로그램의 기술적 기준에 관한 겁니다. 00:13:43.786 --> 00:13:45.995 저는 학생들이 기술적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. 00:13:45.996 --> 00:13:51.445 그래서 간호학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을 만나서 이렇게 이야가합니다. 00:13:51.446 --> 00:13:54.075 "좋아. 여기 프로그램의 기술적 기준안이 있어. 00:13:54.076 --> 00:13:58.985 프로그램을 공부하고 졸업을 하기 위한 기준안을 다 이행할 수 있니? 00:13:58.986 --> 00:14:02.325 그냥 참여를 하는 게 아니라 실제 졸업을 할 수 있어야 해. 00:14:02.326 --> 00:14:05.995 그리고 이런 기술적 기준에 포함된 요소 들 가운데 어떤 것들은 실제 작업 현장, 00:14:05.996 --> 00:14:10.625 임상 경험, 환자와 마주하여 실제로 진료를 해보는 일 등이 포함될 수 있어. 00:14:10.626 --> 00:14:14.865 그런 일들을 모두 할 수 있니?" 00:14:18.206 --> 00:14:20.685 그러므로 리스트를 훑어보는 것은 좋은 생각입니다. 00:14:20.686 --> 00:14:21.235 우리가 할 일은... 00:14:21.236 --> 00:14:24.725 편의 서비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은 교수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. 00:14:24.726 --> 00:14:28.375 수업 중에 보편적인 설계라는 원칙을 사용하여서 00:14:28.376 --> 00:14:31.675 교실에서 모든 학생들을 위해 학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 00:14:31.676 --> 00:14:35.595 우리가 보편적인 설계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일반론에서 00:14:35.596 --> 00:14:41.435 벗어난 무언가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은 아닙니다. 다양한 개인을 가르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는 겁니다. 00:14:41.436 --> 00:14:46.325 앞서 준비를 하고, 수업에서 여러 유형의 학습자에 대해서 생각할 때 00:14:46.326 --> 00:14:50.495 그리고 여러 사람이 참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. 00:14:50.496 --> 00:14:54.145 보편적 설계 전략을 차용하는 것이 아주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. 00:14:54.146 --> 00:14:57.855 예를 들어서 강좌를 설계하고 있다면, 대안적인 과제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합니다. 00:14:57.856 --> 00:15:01.415 학생들은 논문을 쓰고 과제를 하고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00:15:01.416 --> 00:15:05.905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수업에서 요구하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. 00:15:05.906 --> 00:15:09.695 이런 대안적 학습은 다양한 유형의 학습 스타일과 배경을 00:15:09.696 --> 00:15:13.055 가진 학생들은 물론 장애인들에게도 잘 맞습니다. 00:15:13.056 --> 00:15:18.415 예를 들어서 도서관과 온라인 학습 중에 00:15:18.416 --> 00:15:23.675 책에서, 그리고 강의 개요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지식, 다른 학생들이 얻을 수 00:15:23.676 --> 00:15:25.955 있는 지식은 장애인 학생들도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. 00:15:25.956 --> 00:15:29.065 보편적인 설계라는 개념을 반영한 커리큘럼을 계획하면서 00:15:29.066 --> 00:15:32.005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편의 서비스의 필요성을 줄이거나 아예 없앨 수 있습니다. 00:15:32.006 --> 00:15:34.965 그리고 이런 계획이 학부진과 학생들 모두에게 도움이 됩니다. 00:15:34.966 --> 00:15:39.475 만약 모든 학생들에게 접근이 가능한 강좌를 만들고 있다면 00:15:39.476 --> 00:15:44.315 처음에는 생각한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이 들 수도 있습니다. 00:15:44.316 --> 00:15:48.525 그러나 이런 노력이 학생 뿐 아니라 교수들에게도 도움이 되어 나중에 더 많은 결실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. 00:15:48.526 --> 00:15:50.075 그런 강좌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을 했기 때문입니다. 00:15:50.076 --> 00:15:52.935 이미 만들어둔 커리큘럼은 나중에도 다시 사용이 가능합니다. 00:15:52.936 --> 00:15:56.855 시각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 특히 도움이 되는 00:15:56.856 --> 00:15:59.475 보편적 설계에서 다른 중요한 요소는 00:16:33.756 --> 00:16:36.535 여러가지 선택사항과 에세이에 있습니다. 00:16:36.536 --> 00:16:42.285 우리가 보편적 설계라는 원칙을 적용할 때, 00:16:42.286 --> 00:16:45.755 이로써 필요로 하는 편의 서비스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강좌를 듣는 00:16:45.756 --> 00:16:49.565 학생들과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편의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. 00:16:49.566 --> 00:16:53.925 물론 그렇다고 해서 편의 서비스를 더이상 학생들이 요청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. 00:16:53.926 --> 00:16:58.255 우리는 제공해야 하는 편의 서비스의 경우의 수와 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. 00:17:03.746 --> 00:17:07.325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수업에서 00:17:07.326 --> 00:17:09.545 성공적일 수 있어야 합니다. 00:17:09.546 --> 00:17:10.595 그러면 누가 알겠습니까? 00:17:10.596 --> 00:17:12.935 그들이 나중에 우리 어린이들을 다시 가르치게 될지 말입니다. 00:17:12.935 --> 00:17:15.204 저는 중학생 학생들을 가르치기를 원합니다. 00:17:15.205 --> 00:17:19.224 저는 수학 선생님이 되고 싶으며 제가 학생을 가르치고 싶은 이유는 00:17:19.226 --> 00:17:24.425 "나는 여기서 이야기하는 게 뭔지 잘 모르겠어!" 00:17:24.425 --> 00:17:26.224 라고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지점에서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. 00:17:26.226 --> 00:17:30.245 우리는 문제를 접하고 해결하고 나중에 웃을 수 있을 것입니다. 00:17:30.246 --> 00:17:34.000 나는 매일같이 아이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돕고 싶습니다.